"을"의 지위를 보호하겠다는 민주당 [을지로위], 자신들의 기사를 작성해주던 기자임금은 체불 외면?

  • 등록 2014.01.19 12:22:37
크게보기

[김태민 추적] "나는 기사 쓰는 기계?"...종친떼 추종 매체 기자의 양심 고백

주당 을지로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청소노동자 직접고용 약속을 이행하라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3.12.2 ⓒ 연합뉴스DB
▲ 주당 을지로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청소노동자 직접고용 약속을 이행하라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3.12.2 ⓒ 연합뉴스DB

 

"민주당 <을(乙)지로위원회>의 활동에는
정언(政言)유착의 고리와
임금을 받지 못하고 노동력만 착취당한 기자들인
[을(乙)]의 눈물이 있었다."

 

갑(甲)의 횡포로부터 고통 받는 을(乙)을 지킨다는
민주당 <을지로위원회>(을지로위)
이중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갑을(甲乙) 관계] 해결을 위해서는
물불 가리지 않는다던 <을지로위>가,
정작 자신들의 활동에 대한 홍보성 기사를 작성해주던
인터넷 언론사 P매체의 임금체불 문제는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 언론사 P매체 출신 <이 모 기자>
17일과 18일 두 차례에 걸쳐,
[종친떼](종북-친북-떼촛불 복합체) 추종 성향을 보인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 <오늘의 유머>에 올린 글을 통해
이같은 사실을 폭로했다.

"P매체 기자들의 정당한 노동의 권리인
[임금]을 제때 주지 않거나, 아예 주지 않거나, 
최저 생계비도 안되는 금액을 지급했고

[갑의 횡포]를 고발하겠다는 
민주당의 <을지로위원회> 다큐는

결국 20대 젊은 기자들의 
노동력 착취와 희생으로 이뤄진 것이었다."

   - P매체 출신 이 모 기자

 

<이 모 기자>가 쓴 글에 따르면,
지난 2012년 10월 임금체불 문제로 집단 퇴사한 바 있는
권OO 편집국장, 윤OO, 김OO, 이OO, 권O 기자 등에 대한
체불임금은 18일 현재까지 지급되지 않았다.

또 2013년 11월 5일 퇴사한 <이 모 기자> 본인을 비롯해
김OO, 이OO 기자 등에 대한 임금도 마찬가지였다.

상황이 이런데도,
P매체의 실질적인 대표인 박 모 편집위원은
단 한 번의 사과도 하지 않았다고 <이 모 기자>는 전했다.

더욱이 <이 모 기자>는 그간 P매체가
자사 기자들의 임금도 제대로 지급하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사업 확장에만 매달렸다는 점도 꼬집었다.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이 모 기자>는,
<민주당 을지로위원회>에 대한 다큐멘터리 영상 취재를 위해
박OO, 김OO 등 2명의 기자를 새롭게 충원하고
영상 촬영 장비를 구입한 일을 꼽았다.

임금을 받지 못한 기자들이,
모두 반대 의사를 표시했지만
이는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여기까지는
앞서 P매체의 박 모 편집위원이,
자신의 매체에 16일 쓴
"체불된 임금은 꼭 갚겠습니다!"란 글에도
나오는 내용들이다.

"임금체납이 된 사람이 한둘이 아니니
면목이 없을 뿐입니다. 
현재 노동부에 고발되어 조사받는 건만도 3건이고, 
그 이외에도 몇 분이 더 있습니다." 

<민주당 을지로위원회>를 몇 개월 열심히 취재했습니다. 

문제는,
이게 영상 취재가 합쳐진 것이라
인원과 장비가 꽤 든다는 것이죠! 
단 몇 개월 만에
회사 재정이
거의 풍비박산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 P매체 박 모 편집위원

 

우여곡절 끝에 시작된
다큐멘터리 영상 취재 과정에서
[정언 유착]의 한 단면이 고스란히 드러났다고
<이 모 기자>는 덧붙였다.

민주당 관계자가
해당 기자들에게 직접
기사 작성과 수정 및 삭제를 지시한 것이다.

"P매체박 모 편집위원은
민주당의 행사, 민주당의 소식, 민주당 을지로 위원회모든 기사를,
하루에 5~6건씩 기자들에게 쓰라고 했다."

 

이는 <이 모 기자>가,
"민주당 당직자와 P매체 기자]가 함께 있는
[요상한 그룹 채팅방]"이라며 공개한
카카오톡 그룹 채팅방 캡쳐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캡쳐 1> '민주P매체'라는 이름의 그룹채팅방에서 이원정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총괄팀장은 "김 모 비서 먹는 장면 오래동안 나오던데 삭제요청입니다"라고 기자들에게 지시를 내렸다.

<캡쳐 2> '민주P매체'라는 이름의 그룹채팅방에서 이원정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총괄팀장은 "P의원 또는 국조특위를 검색어로 블로그와 트윗에 기조영상을 꼭 올리세요. 모바일 버전으로는 기사도 제대로 안나오고 영상도 안보여요"라고 기자들에게 지시를 내렸다.


<캡쳐 3> '민주P매체'라는 이름의 그룹채팅방에서 인터넷 언론사 P매체 박 모 기자는 "우원식 의원님 인터뷰 영상입니다. 아직 컨펌이 안와서 기사로 바로 내진 마시고 일단 보면서 기사 내용 작성만 해놓으시랍니다. 내일 컨펌 받는 대로 말씀드릴게요. 그때 기사 바로 내주세요"라고 썼다.


<이 모 기자>는 
P매체 기자들의 임금 체불 문제에 대해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임금 체불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며
철저히 외면한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지난 1월 9일 국회 정론관에서
[홈플러스 기형적 점오(0.5) 근로계약제 폐지 노사합의 환영]이란
플랜 카드를 걸고 임금 체불 문제에 대한 기자회견을 한 바 있다.

<이 모 기자>가 전한 <민주당 을지로위원회>의 답변은
사실과 다를 가능성이 큰 것이다.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P매체와의 관계 때문에
일부러 피하고 있는 것이란 설명이다.

"우리가 자기들 영상을 만들어줬는데
그런 문제가 생기고 있으면

체불 임금 문제에 대해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하는 것 아닌가.
갑을관계 해결해줬다고 홍보하는 곳에서
왜 우리 문제는 외면하나."

   - P매체 출신 이 모 기자


<이 모 기자>

자신이 쓴 글 말미에 다음과 같은 말도  덧붙였다.

"기자의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황당한 정언유착 고리에 대해 항의가
전혀 먹혀들지 않는 것을 보고 퇴사했다.

걸 공개함으로 인해
법적 문제가 있다면 처벌을 받겠
다."

 

아울러 P매체 퇴직 기자들은
P매체 측에

자금사정이 어렵다면 지금이라도 파산하거나 
폐업 또는 회사의 매각을 통해 
밀린 임금을 지급하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이 모 기자>
는 전했다.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press@newdaily.co.kr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뉴스관리자 sblee2k@hanmail.net
<대한민국지키기불교도총연합(大佛總 ), 전재 및 재배포 허용>

PC버전으로 보기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25길 37 (양재동) 양촌빌딩 2층 전화 : 02) 2265-0570 / 팩스 : 02) 2265-0571 / E-mail : sblee2k@hanmail.net Copyright NaBuCo.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