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길 칼럼〕성직자의 부패는 식욕과 성욕 - 먹을 것과 이성(異性)에 대한 욕망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해서!

  • 등록 2014.01.12 10:47:05
크게보기

성직자(聖職者)라는 낱말에 대하여 수긍하기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거룩한 직업’이 따로 있겠습니까?

스님이 되고 사제가 되고 목사가 되는 일이 ‘거룩하게’ 느껴지던 시대는 아닌 것 같습니다.

 

스님은,

부처님이 되기를 바라는 불자(佛子)들을 선도할 책임을 지는 것이고,

사제(司祭)는

하느님(하나님)께 드리는 제사를 도맡은 사람이고,

목사는

갈 길을 찾지 못하는 어린 양들을 돌보는 책임이 있다고 믿고,

그들을 ‘성직자’라고 부르게 되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영어의 ‘클러지(Clergy)’라는 낱말에는

‘거룩하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단지 ‘평신도(平信徒 - laity)’와 구별하기 위해서 만들어낸 말일 것입니다.

 

 스님들의 세계를 나는 잘 모릅니다.

 

다만 천주교와 개신교의 ‘성직자들’에 대하여는 어느 정도 알고 있습니다.

어떤 직업을 가진 어떤 인간이건 부정부패의 원인은 하나입니다.

타고난 본능에 대한 조절이 어렵게 되는 겁니다.

식욕과 성욕 - 먹을 것과 이성(異性)에 대한 욕망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해서 비리가 생기는 겁니다.

 

부양가족이 없는 스님이나 신부는 돈에 대한 욕심은 크게 문제되지 않지만

이성에 대한 욕구는 평신도와 조금도 다를 바가 없습니다.

 

가톨릭교회는 성 불구자를 신학생으로 받아주지 않을 뿐 아니라 주교나 사제로 임명되는 서품(敍品)이 ‘불가(不可)’라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사제들도 그 문제를 가지고 계속 고민하고 싸우라는 뜻이 아니겠습니까?

 

 대처승(帶妻僧)이나 개신교 목사에게는 성욕만이 문제가 아니고

식구들을 먹여 살려야 하는 책임마저 짊어져야 하니, 신부들보다도 더 힘들고 위험한 삶을 살아야 합니다.

 

내가 보기에 개신교 목사들은 ‘돈과 여자’ 때문에 타락하기 쉽고

신부들은 정치적인 정의를 구현한답시고 십자가를 들고 길거리에 나와서

자기들 자신도 잘 모르는 문제를 가지고 시위를 하는 겁니다.

그것이 어쩌면 성욕과 식욕을 억제하는 일에 다소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겁니다.

 

평신도 여러분,

스님이나 신부나 목사의 비리에 대하여 좀 배려가 있고 조금 더 관대하시기를 바라마지 않습니다.(코나스)

 

김동길(www.kimdonggill.com) ‘자유의 파수꾼’

뉴스관리자 sblee2k@hanmail.net
<대한민국지키기불교도총연합(大佛總 ), 전재 및 재배포 허용>

PC버전으로 보기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25길 37 (양재동) 양촌빌딩 2층 전화 : 02) 2265-0570 / 팩스 : 02) 2265-0571 / E-mail : sblee2k@hanmail.net Copyright NaBuCo.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