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9 (수)

  • 맑음동두천 -2.8℃
  • 맑음강릉 -2.3℃
  • 맑음서울 -1.1℃
  • 맑음대전 -0.1℃
  • 맑음대구 1.1℃
  • 맑음울산 0.1℃
  • 맑음광주 0.1℃
  • 맑음부산 1.5℃
  • 맑음고창 -1.2℃
  • 제주 4.4℃
  • 맑음강화 -0.2℃
  • 구름많음보은 -3.1℃
  • 맑음금산 -2.9℃
  • 맑음강진군 -0.7℃
  • 맑음경주시 0.8℃
  • 맑음거제 1.4℃
기상청 제공

칼럼/인터뷰

이명박대통령이정통보수우익단체를 곁에 두고 싶어 할까?

아니면종북정권과 같은 주홍글씨로 점을 찍을까?

오늘까지 대통령의 발언과 대북정책을 미뤄보면, 한마디로 아스팔트 “정통보수 우익단체”를 곁에 둘 의향이 적은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그렇다면 지난 친북좌파정권에서 “주홍글씨”로 낙점했던 보수우익단체에 대한 편향적 태도와 이명박 정권이 별반 다를 바 없는 정권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요즘 거리집회 및 기자회견장에서의 시민들에 이구동성은 한결’ 같이 이명박 대통령 또한 믿을 사람은 못된다. 라는 말이 허튼소리가 아니게 된다. 이렇게 국민의 시선에서 정권과 한나라당이 점점 멀어지게 된다면 앞으로 5년간의 이명박 정권’ 원활 할까? 와 4년 후의 총선과 지자체 그리고 5년 후의 대선을 놓고 봤을 때 이건 아니다 라는 게 분명해진다.

이명박 대통령과 청와대 그리고 한나라당은 분명한 노선과 입장을 밝혀야 한다. 그래야 많이 애국시민과 정통우익단체가 선과 후 좌우 앞뒤를 가려 이에 적절한 대처를 할 것이다.

청와대가 거머쥔 정권이라 해서 엇지 되겠지 란 안일한 생각으로 세월아 네월아 한다면 낭패 중에 낭패이며, 개차반이 중에 上개차반이 같은 정권이 된다. 이렇게 별 볼일 없이 연약하고 보잘것없는 정권이다. 라는 허점이 노출되면 從北者들이 하루 한時인들 조용히 내버려 두겠는가? 만약의 경우 가정을 해 본다면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도로당 ”의 허수아비 “도로정권”일 뿐이다.

이모든 것 우익의 한 사람으로써 보건데 서운한 점과 미덥지 못 한 점, 한두 가지 가 아니다. 이를 우익단체의 한 일원으로서의 느낌은 <<우익단체는 가까이 해서는 안 되는 단체>> <<우익단체는 껄끄러운 상대>> <<정권이 하고자 하는 모든 일에 좌 충수를 두며 딴지를 거 는 집단>>으로 보고 있는 듯하다.

만약 이렇게 이명박 정권과 한나라당이 덜 떨어진 생각하고 있다면 어불성설이며, 큰 오산이다. 오늘의 청와대가 있기까지는 아스팔트위의 열혈애국시민과 우익단체가 있었기에 가능 했다고 본다.

그리고 오늘까지 이명박 정권과 한나라당이 도로당과 좌파단체에 휘둘리는 원인 중 하나가 이명박 대통령 측근에 정통우익세력이 없다는 맹점이다. 이러한 맹점을 간파하지 못 하고, 주는 떡이나 얻어먹으려 든다면, 두 원흉의 하수 정권일 뿐이다. 이러한 구태의연한 자세 즉각 벗어던져야 한다.

wo5rbs@hanmail.net 장재균


혁신학교? 혁신은 개뿔! 애들 학력만 퇴행중! 교무실 커피자판기, 교사 항공권 구입에 물 쓰듯...특혜 불구 학력은 뒷걸음 일반학교에 비해 연간 1억4,000~1억5,000만원을 특별히 지원받는 서울형 혁신학교가 예산을 엉뚱한 곳에 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특별예산(학교운영비)으로 교사실의 각종 책장이나 가구를 구입했고, 수백만원을 들여 학습자료 저장용 USB와 외장하드를 사서 나눠 갖은 사실도 밝혀졌다. 교무실 커피자판기를 구입하는데 특별예산을 쓴 혁신학교도 있었다. 이밖에도 여직원 휴게실 가스보일러 교체, 부장교사 워크숍 항공권 구입, 교직원 전체 체육복 구입 등 본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곳에 특별예산을 물 쓰듯 전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학생들에 대한 선심성 예산 집행 정황도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학생 티셔츠 구입, 진공청소기 구입 등에 특별예산을 수백만원씩 사용했다. 학생들의 생일축하용 떡케익 구입비용으로 매달 70~90만원을 사용한 곳도 있었다. 반면 서울형 혁신학교의 학력은 일반학교에 비해 오히려 뒷걸음질 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내용은 서울시교육청이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에게 제출한 2012년 혁신학교 정산서 통합지출부를 통해 밝혀졌다. 서울형 혁신학교는 곽노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