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1 (금)

  • 맑음동두천 18.2℃
  • 맑음강릉 20.7℃
  • 맑음서울 18.3℃
  • 맑음대전 19.5℃
  • 맑음대구 23.2℃
  • 맑음울산 21.7℃
  • 맑음광주 19.9℃
  • 맑음부산 15.9℃
  • 맑음고창 16.8℃
  • 맑음제주 20.5℃
  • 맑음강화 10.3℃
  • 맑음보은 19.7℃
  • 맑음금산 19.4℃
  • 맑음강진군 19.4℃
  • 맑음경주시 23.7℃
  • 맑음거제 15.9℃
기상청 제공

칼럼/인터뷰

1만개 풍선 날려 보내기 운동 전개

초, 중, 고, 학생들의 “사랑과 희망의 엽서”날려 보내기 운동에 자발적 참여를 유도한다

지난 2일 임진각 자유의다리에서 대북전단지(삐라) 날려 보내기 행사장에 괴 지령을 받은 친북단체들이 난입 폭력을 행사 북한으로 날려 보내려던 풍선과 전단지가 담긴 비닐이 찢겨 다리위에 전단지가 쏟아져 흩어졌고, 급기야 애국동지가 나뒹굴었다.

이날 자유북한운동연합 박상학 대표는 난입한 친북좌파들에게 집중 구타를 당해 병원으로 급 후송 목에 깁스를 할 정도로 從北者들의 악날성 악질성이 극에 달하기도 했다.

다음날 3일 오전 11시 수십여 우익단체가 참여한 가운데“대북전단지(삐라) 날려 보내기 행사”를 다시 강행했다.

그런데 5일 오전 여의도 한나라당 당사에서 괴변이 생겼다.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와 박상학 대표 최성용 대표와의 간담회가 있은 뒤 “대북전단 살포”를 잠정 중단 하겠다. 는 발표가 나왔다. 각 우익단체와 애국시민들에겐 청천벽력과 같은 소식이었다.

그러나 모진 협박과 탄압을 견뎌가며 북한 김정일 살인마정권의 인권말살과 1인 숭배를 위한 북의 잘못된 권력체제를 전 북한 인민들에게 바로 알리기 위한 운동, 자유북한운동연합 박상학 대표, 납북자가족모임 최성용 대표 그동안 정말 고생이 많았습니다.

동토의 땅을 목숨 걸고 탈출한 박상학 대표와 최성용 대표, 누구보다도 그곳사정에 밝은 두 대표의 활약을 진심으로 자유대한민국의 한 시민으로서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그러나 북을 위한 몇몇 반역적 반통일적 행동을 서슴지 않는 從北黨과 從北단체, 전 국민과 애국단체는 좌시하지 않을 것입니다.

어제 6일 오후 4시 기습한파로 꽁꽁 얼어붙은 서울의 모처에서 10여개 애국우익단체 대표들과 열혈애국시민은 이곳에서“중단된 대북 전단지 날려 보내기운동”에 관한 대책회의를 가졌다.

국민의병단 최우원 교수, 기조연설과 부정부패추방시민연합회 윤용 대표의 대북전단지 전 국민 1인 1개(엽서, 연하장) 날려 보내기 운동을 범국민적으로 승화시키기 위한 운동에 적극 나서기로 이날 결정했다.

방법 : 하늘과 바다(해류) 국경지대, 그리고 각 종교와 종교인들의 협력 협조를 받는 방법 등 총 망라해 북한으로 전단지(삐라)를 보낼 수 있는 어떠한 방법, 어느 장소가 되었던 가리지 않을 것이라 말했다.

단체명 : 가칭<대북전단 범국민 이어날려 보내기 운동>


첫 번째 : 1만개 풍선 날려 보내기 운동을 전개한다.

두 번째 : 종교인 참석을 적극 유도하며,

세 번째 : 초, 중, 고, 학생들의 “사랑과 희망의 엽서”날려 보내기 운동에 자발적 참여를 유도한다.
 
▲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독재와 역도라 하는 망발을 일삼는 북한의 대남 협박 비방방송을 계속하고 있는 이 와중에 대북전단지 날려 보내기운동을 중단할 수 없는 없는 일이다.국민의병단 최우원 대표(촬영 장재균) 
 
▲ 대북전단 살포는 범국민적 운동으로 해야 한다. 부정부패추방시민연합회 윤용 대표,(촬영 장재균) 
 
 
▲ 범 국민적 대북전단지 살포에 적극 동참하겠다. 자유시민연대 송영인 대표,(촬영 장재균) 
 
 
 
 
공동대표 : 최우원, 윤용, 석종대,

사무총장 : 박정섭.

간 사 : 한지헌.

여성국장 : 김순옥.


계좌번호 : 0000 0000 000000 추후결정,


혁신학교? 혁신은 개뿔! 애들 학력만 퇴행중! 교무실 커피자판기, 교사 항공권 구입에 물 쓰듯...특혜 불구 학력은 뒷걸음 일반학교에 비해 연간 1억4,000~1억5,000만원을 특별히 지원받는 서울형 혁신학교가 예산을 엉뚱한 곳에 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특별예산(학교운영비)으로 교사실의 각종 책장이나 가구를 구입했고, 수백만원을 들여 학습자료 저장용 USB와 외장하드를 사서 나눠 갖은 사실도 밝혀졌다. 교무실 커피자판기를 구입하는데 특별예산을 쓴 혁신학교도 있었다. 이밖에도 여직원 휴게실 가스보일러 교체, 부장교사 워크숍 항공권 구입, 교직원 전체 체육복 구입 등 본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곳에 특별예산을 물 쓰듯 전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학생들에 대한 선심성 예산 집행 정황도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학생 티셔츠 구입, 진공청소기 구입 등에 특별예산을 수백만원씩 사용했다. 학생들의 생일축하용 떡케익 구입비용으로 매달 70~90만원을 사용한 곳도 있었다. 반면 서울형 혁신학교의 학력은 일반학교에 비해 오히려 뒷걸음질 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내용은 서울시교육청이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에게 제출한 2012년 혁신학교 정산서 통합지출부를 통해 밝혀졌다. 서울형 혁신학교는 곽노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