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29 (목)

  • 맑음동두천 27.8℃
  • 맑음강릉 25.5℃
  • 맑음서울 30.2℃
  • 구름조금대전 27.0℃
  • 맑음대구 29.2℃
  • 울산 25.7℃
  • 맑음광주 30.6℃
  • 부산 27.8℃
  • 맑음고창 30.3℃
  • 구름조금제주 30.1℃
  • 맑음강화 27.6℃
  • 구름많음보은 26.1℃
  • 구름많음금산 28.2℃
  • 맑음강진군 31.0℃
  • 흐림경주시 26.4℃
  • 흐림거제 29.2℃
기상청 제공

뉴스

[조선사설] '국민성장'내세운 문제인 경제구조개혁은 왜 막았나?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6일 자신의 대선 싱크탱크인 '국민성장' 창립 준비 심포지엄에서 "국민이 먹고사는 게 힘들어 폭발 직전"이라며 "경제 패러다임의 중심을 국가나 기업에서 개인과 가계로 바꿔야 한다"고 했다. 그는 국가 대개조, 부패 대청소, 정글 경제를 사람 경제로, 재벌 규제 강화, 중소기업 중시, 공공 부문 고용 확대, 지역 분권 등을 제시했다. 이명박·박근혜 대통령 집권 기간 경제를 '대한민국 굴욕의 10년'이라면서 '경제 교체'를 해야 한다고도 했다. 사실상 문 전 대표의 대선 경제 출사표에 해당하는 내용이었다.

문 대표의 발표엔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고 유념해야 할 내용이 적지 않다. 과도한 대기업 편중이나 소득 양극화 등은 심각한 문제다. 다만 문 전 대표는 지금 우리 경제가 당면한 시급하고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전문가와 경제인 대부분은 공공·노동·금융·교육 등 수명이 다한 낡은 구조를 개혁하지 않고는 우리 경제에 희망이 없다고 한다. 외국의 경제 연구 기관들도 예외 없이 지적하고 있다. 그런데 문 전 대표 시절 민주당은 4대 구조 개혁을 가로막았다. 노동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동 4법은 야당이 대기업 귀족 노조들과 손잡고 막는 바람에 한 가지도 통과되지 못했다. 국가 백년대계라는 공무원연금 개혁이 기대에 훨씬 못 미치는 결과밖에 얻지 못한 것도 야당들이 공무원노조 표를 의식했기 때문이다. 누구나 공감하는 숙제인 규제 완화에 대해서도 야당은 줄곧 부정적이었다. 문 전 대표는 그러나 이날 이런 문제는 거의 말하지 않았다.

우리 경제의 또 다른 현안은 중국이 우리의 시장과 기회를 전부 잠식해 들어오고 있는 사태다. 쓰나미 같다고도 한다. 여기에 세계적 경기 침체와 무역 축소까지 겹쳐 있다. 조선·해운 외에 구조조정이 절박한 업종도 여럿이다. 현장에서 피부로 위기를 느끼는 기업인들은 물론이고 일반 국민도 대통령이 되겠다는 사람들의 복안을 듣고 싶어 한다. 그러나 문 전 대표는 이날 표 되는 말만 골라서 하면서 정말 해야 할 말은 하지 않았다. 이것은 문 전 대표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대선에 나오겠다는 사람 모두에게 해당한다.

경제를 잘하고 싶지 않은 정부가 있을 리 없다. 그러나 경제는 말로 되지 않는다. 듣기 좋은 장밋빛 비전은 충분히 나왔으니 이제부터는 우리의 한계와 가능성이 무엇인지, 기업·국민·노동계는 무엇을 희생해야 하고 준비해야 하는지 등 진짜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정책이 나와야 한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혁신학교? 혁신은 개뿔! 애들 학력만 퇴행중! 교무실 커피자판기, 교사 항공권 구입에 물 쓰듯...특혜 불구 학력은 뒷걸음 일반학교에 비해 연간 1억4,000~1억5,000만원을 특별히 지원받는 서울형 혁신학교가 예산을 엉뚱한 곳에 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특별예산(학교운영비)으로 교사실의 각종 책장이나 가구를 구입했고, 수백만원을 들여 학습자료 저장용 USB와 외장하드를 사서 나눠 갖은 사실도 밝혀졌다. 교무실 커피자판기를 구입하는데 특별예산을 쓴 혁신학교도 있었다. 이밖에도 여직원 휴게실 가스보일러 교체, 부장교사 워크숍 항공권 구입, 교직원 전체 체육복 구입 등 본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곳에 특별예산을 물 쓰듯 전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학생들에 대한 선심성 예산 집행 정황도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학생 티셔츠 구입, 진공청소기 구입 등에 특별예산을 수백만원씩 사용했다. 학생들의 생일축하용 떡케익 구입비용으로 매달 70~90만원을 사용한 곳도 있었다. 반면 서울형 혁신학교의 학력은 일반학교에 비해 오히려 뒷걸음질 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내용은 서울시교육청이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에게 제출한 2012년 혁신학교 정산서 통합지출부를 통해 밝혀졌다. 서울형 혁신학교는 곽노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