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03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뉴스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간판 ‘련락’ 표기 논란


앵커: 지난 9월 개소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건물의 간판이 북한식 표기인 ‘련락’으로 돼 있다며

한국의 일부 누리꾼, 즉 인터넷 이용자들이 뒤늦게 논란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북 정상 간 4·27 판문점선언 합의사항으로 남북한은 시설 개보수를 거친 후

지난달 14일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개성에 개소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공동연락사무소 1층 현관 간판에는 북한식 문화어 표기법에 따라 ‘공동련락사무소’라는 글자가 크게 새겨져 있습니다.


또 건물 오른쪽 위에는 한국식 표준어 표기법에 따라 ‘공동연락사무소’라 작게 적힌 간판이 붙어 있습니다.


북한은 두음법칙을 따르지 않아 ‘련락사무소’로, 남한은 ‘연락사무소’로 표기하는 것입니다.


아울러 1층 간판의 북한식 표기인 ‘공동련락사무소’의 글씨가

건물 오른쪽 위에 있는 남한식 표기인 ‘공동연락사무소’ 글씨체 보다 비교적 큽니다. (위 사진참고)


하지만 이를 두고 일부 한국 내 누리꾼은6일 인터넷 사회연결망인 페이스북에 한국이 개보수 비용을

모두 떠 맡았는데도 한국식 표기를 조그맣게 밖에 하지 못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는 공동연락사무소 개보수 비용에 한국 돈 100억원,

다시 말해 미화 약 900만 달러가 쓰여 과다 지출이었다는 논란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일부 누리꾼이6일 인터넷 사회연결망인 페이스북에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에의 1층 현관 간판이 북한식 표기인 ‘공동련락사무소’로 돼 있고, 한국식 표기인 ‘공동연락사무소’가 작게 돼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일부 누리꾼이6일 인터넷 사회연결망인 페이스북에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에의 1층 현관 간판이 북한식 표기인 ‘공동련락사무소’로 돼 있고, 한국식 표기인 ‘공동연락사무소’가 작게 돼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진출처:페이스북

다른 누리꾼도 공동연락사무소를 판문점이 아니라 북한 지역에 두면서 간판까지 북한식 표기를 하는 것은 북한의 눈치를 너무 보는 게 아니냐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바로 위 사진참고)


이와 관련해 또 다른 누리꾼은 글씨 크기와 상관이 없이 한국식 표기와 북한식 표기를 병기했다는 데 남북한 화해의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있는 건물은 2007년 준공된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2008년 남북교류협력협의 사무소로 개편) 청사를 개보수한 곳으로, 당시에는 ‘경제협력협의사무소’라는 간판을 써 남북한 표기 논란은 없었습니다.

앞서, 한국의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북한의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9월 14일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구성∙운영에 관한 합의서’에 서명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 합의서에는 건물의 간판 위치 및 표기 방식에 대한 합의 내용은 없었습니다.


공동연락사무소가 북한 지역인 개성에 있기 때문에 사무소 건물 아래쪽에 북한식 표기를 크게,

위쪽에 남한식 표기를 작게 한 것인지 또는 또다른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는 현재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현재 공동연락사무소는 남북이 공동으로 상주하는 공관으로,

남측 관리구역과 전체 건물유지 관리는 통일부가 맡도록 돼 있습니다.


이러한 논란과 관련한 입장을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통일부는 7일 오후까지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혁신학교? 혁신은 개뿔! 애들 학력만 퇴행중! 교무실 커피자판기, 교사 항공권 구입에 물 쓰듯...특혜 불구 학력은 뒷걸음 일반학교에 비해 연간 1억4,000~1억5,000만원을 특별히 지원받는 서울형 혁신학교가 예산을 엉뚱한 곳에 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특별예산(학교운영비)으로 교사실의 각종 책장이나 가구를 구입했고, 수백만원을 들여 학습자료 저장용 USB와 외장하드를 사서 나눠 갖은 사실도 밝혀졌다. 교무실 커피자판기를 구입하는데 특별예산을 쓴 혁신학교도 있었다. 이밖에도 여직원 휴게실 가스보일러 교체, 부장교사 워크숍 항공권 구입, 교직원 전체 체육복 구입 등 본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곳에 특별예산을 물 쓰듯 전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학생들에 대한 선심성 예산 집행 정황도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학생 티셔츠 구입, 진공청소기 구입 등에 특별예산을 수백만원씩 사용했다. 학생들의 생일축하용 떡케익 구입비용으로 매달 70~90만원을 사용한 곳도 있었다. 반면 서울형 혁신학교의 학력은 일반학교에 비해 오히려 뒷걸음질 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내용은 서울시교육청이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에게 제출한 2012년 혁신학교 정산서 통합지출부를 통해 밝혀졌다. 서울형 혁신학교는 곽노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