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양성원 yangs@rfa.org
2012-12-06
미국의 새뮤얼 라클리어 태평양사령관은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하려는 배경과 관련해 자칭 ‘핵보유국’으로서 미사일 제조 기술을 과시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새뮤얼 라클리어 미 태평양군 사령관.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라클리어 사령관은 6일 워싱턴 국방부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 당국은 미사일 발사로 지역 안보에 미치게 될 악영향을 재고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라클리어 사령관: 북한 지도부는 미사일 발사가 한반도와 아시아지역 안보 환경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을 고려하길 권고합니다. (We encourage the leadership in North Korea to consider what they're doing here, and the implications on the overall security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in Asia.)
라클리어 사령관은 북한이 이번 발사를 평화적 위성발사라고 말하고 있지만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명백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 위반이라고 거듭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 등 동맹국들을 안심시키고 미국 본토를 방어하기 위해 필요한 군 자산(assets)을 포진시키는 등 미국은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비 태세를 갖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라클리어 사령관은 특히 미사일 방어망 체제를 갖춘 함정들을 이미 관련 지역에 파견했다면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동향을 면밀히 주시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북한이 미사일 발사에 나서는 이유에 대해 오는 17일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1주기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은 국제사회에서 핵보유국으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라클리어 사령관: 우리는 ‘핵보유국(nuclear state)'으로 인정받길 원하는 북한이 미사일 기술을 확보하고 있음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판단하고 있는데 이는 아시아를 비롯한 국제 안보 환경을 크게 해칠 수 있습니다.
라클리어 사령관은 북한의 미사일 기술 수준과 관련해 북한이 오랜 기간 관련 기술을 적극적으로 확보해왔지만 지난 4월 발사 실패 이후 단시일 안에 문제를 해결했는지는 분명치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미국의 살바토레 안제렐라 주일미군 사령관도 6일 일본 도쿄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 움직임과 관련해 '매우 위험한(very dangerous)'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안제렐라 사령관은 북한의 로켓 발사는 매우 위험하고 미국은 북한의 이런 움직임을 반대한다면서 “북한의 움직임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