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천안함 폭침 5주기를 하루 앞둔 2015년 3월 25일 해병대 2사단을 방문, 군 관계자로부터 현황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천안함 폭침 때 북한 잠수정이 감쪽같이 몰래 침투해 천안함을 타격한 후 북한으로 도주했다”고 말했다고 김영록 대변인이 전했다. 문 대표는 “당시 우리가 이것을 제대로 탐지해내지 못했다”며 “내일이 천안함 폭침 5주기인데, 북한의 잠수함 침투 등에 대비한 장비와 사전 탐지능력 등 대비태세가 강화됐느냐”고 했다. 언론은 문 대표가 천안함 폭침과 관련, ‘북의 소행’이라는 점을 명시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주목된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는 26일 “어제(25일) 야당 대표가 5년 만에 처음으로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이라는 점을 처음으로 언급했다고 전해지고 있다”며 “만시지탄(晩時之歎)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안보정당을 표방하면서 5년 만에 북한 소행임을 인정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며 “이왕 안보정당이란 기치를 내세운 만큼 국가 안보 하나 만큼은 초당적으로 임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26일 북한의 천안함 폭침 당시 민주당(새정연
▲ 26일 충남 천안시 유량동 태조산공원에서 열린 '천안함 46용사 5주기 추모식'에서 해군 장병들이 모형 천안함을 바라보고 있다. 2015.3.26 ⓒ 연합뉴스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이 천안함 폭침 5주기를 맞아 과거 천안함 음모론을 펼쳤던 인사들과 발언 내용을 공개하며 입장을 분명히 밝히라고 촉구했다. 김 의원은 천안함 음모론을 폈던 인사들을 언급한 뒤 “이분들 지금 어디서 뭐하시나요? 그땐 뭐가 씌워서 잘못됐다든가, 문재인, 선거를 의식해 맘에도 없는 말 하지 말라든가 입장을 분명히 하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최근 천안함 폭침의 북한 소행을 공식 인정한 바 있다. 다음은 김진태 의원이 공개한 천안함 망언록 내용. △ 천안함은 소설이다. 나도 소설가지만 졌다(이외수)△ 0.0001%도 설득이 안된다(김용옥)△ 홀인원이 다섯 번 연속 날 확률(최문순)△ 길거리 돌을 구석기시대 돌이라고 주장(노회찬)△ 보수세력의 상상임신(모 신문 논설위원)△ 종북세력을 단속하기 위한 조작극(정의구현사제단) © 블루투데이 " 사랑과 용서로 하나된 국민이 최강의 국가안보입니다 "
▲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27일 오전 성남시 중원구 성남시근로자종합복지관에서 열린 현장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5.3.27 ⓒ 연합뉴스천안함 폭침 사건에 대한 북한 소행을 공식 인정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에 대해 줄곧 천안함 음모론을 제기해온 참여연대가 반발하고 나섰다. 참여연대는 26일 논평을 내고 “문재인 대표는 과거 민주당의 입장을 번복하여 ‘천안함 침몰은 폭침’이라고 단정하게 된 근거를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여연대는 “문재인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이 ‘국민의 의혹만 키운 정부의 최종 발표’에 대한 검증요구를 접고 ‘북한의 어뢰 공격’으로 단정하게 된 근거가 무엇인가? 만약 문 대표가 시민들과 국제사회가 제기해온 합리적 의혹들에 대해 정부로부터 새로운 과학적 근거나 증거를 제공받았다면 마땅히 이를 공개해 국민들도 진실을 알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만약 그러한 근거가 없다면 문 대표의 발언은 책임 있는 정치인의 자세를 저버리고 안보논리에 편승한 정략적 처사라는 비판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며 “오히려 문 대표는 정부에 정확한 진상조사와 남북대화를 촉구하고 새정치민주연합 차원에서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건국 대통령 탄생 140주년 기념행사가 없는 세계 유일의 나라趙甲濟 *오늘은 대한민국의 자유와 번영을 예정한 자유민주 체제 건설의 지도자 李承晩 건국 대통령 탄생 140주년이 되는 날이다. 이렇게 성공한 나라인데 건국 대통령 탄생 140주년 행사가 없었고, 언론은 무시하였다. 그런 언론이 민족반역자 김일성과 김정일의 생일은 며칠 전부터 태양절 운운하면서 친절히 보도한다. 건국 대통령의 생일뿐 아니라 대한민국의 생일, 즉 건국 기념일도 없는 세계 유일의 나라가 한국이다. *한국은 적이 핵무장을 해도 대응 핵무장론이 나오지 않는 세계 유일의 나라일 뿐 아니라 핵미사일 방어망도 적의 동맹국에 물어보고 만들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세계 유일의 나라이다. 그래서 경제력이 40분의 1밖에 되지 않는 집단에 대하여 겁을 먹고 끌려 다니는 가장 비겁한 나라가 되었다. 배은망덕과 겁쟁이 부문에서 챔피언이 되어야 할 나라이다. ▲ 지난 2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해방 70주년-건국 67주년 기념 특별강연회에 나온 趙甲濟 조갑제닷컴 대표. ⓒ뉴데일리 *김정은 3代세습을 옹호하는 그 입으로 박근혜씨를 독재자의 딸이라고 비방해도 언론으로부터 비판을 당하지 않는 세계 유일의
▲ [건국 대통령 이승만 탄신 140주년, 서거 50주기]와 뉴데일리가 창간 10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26일 오후3시부터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대한민국 67년 : 이승만과 박정희, 그리고 자유통일]이라는 주제로 특별 강연회를 열었다. ⓒ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뉴데일리미디어그룹이 광복 70년, 건국 67년, 창간 10년을 맞아 대한민국의 건국과 흥국(興國), 그 의미와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길을 재조명하기 위한 창간 기념 특별강연회를 26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열었다. 대한민국 67년 : 이승만과 박정희, 그리고 자유통일’로 이름 붙은 특별강연회에는 문창극 전 중앙일보 주필, 이호 목사,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 류근일 뉴데일리 고문(전 조선일보 주필)이 강연자로 나서, ‘우남 이승만 건국대통령의 나라 만들기’, ‘박정희 대통령의 나라 잘살게 만들기’, ‘대한민국 걸어가야 할 자유통일의 길’을 주제로 특강을 했다. 강연회가 열린 26일은 대한민국 건국의 아버지 우남 이승만 대통령이 탄생한지 140년, 안중근 의사가 순국한지 105년, 북한의 천안함 폭침 사건이 일어난 지 5년째가 되는 날로, 이날 강연회는
정부도 외면한 ‘國父’ 탄신 140년-해방 70주년-건국 67주년, 이제 우리가 나선다▲ 이승만 대통령이 29살 옥중에서 쓴 책 '독립정신' 가운데 일부분. ⓒ뉴데일리 DB “감옥에서 보낸 지루한 세월이 어느덧 7년째가 되었다. 소중한 시간을 헛되이 보내기 아까워 외국 친구들이 빌려준 책을 탐독하며 고통과 근심을 잊어버리고자 하기도 했다. 세상 형편이 돌아가는 것을 생각하면 울분이 치솟아….” 111년 전 한성 감옥에 있던 스물아홉 살의 한 젊은이가 책을 쓰게 된 이유를 설명하며 꺼낸 말이다. 이 젊은이는 ‘사대주의’에 찌들어 자신을 박해하던 조선 왕조를 피해 미국으로 건너간다. 그리고 44년 후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를 건국한다. 우남 이승만 대통령의 이야기다. 서거 50주기가 된 오늘날, 이승만 대통령에 대해 물어보면 많은 사람들이 “초대 대통령이었던 독재자” “민심에 무지했던 독재자” 등의 답을 한다. 재미있는 건 이런 대답을 하는 사람 가운데 이승만 대통령이 쓴 책이나 연설문을 제대로 읽어본 사람이 별로 없다는 점이다. 이승만 대통령의 ‘독립정신’ 이승만 대통령의 저서로는 ‘독립정신’과 ‘Japan Inside Out’이 가장 유명하다. 앞서 소개한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새로운 북한인권 결의안 처리가 다가온 가운데 이에 대한 북한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이번 결의안에 새롭게 추가된 내용들은 북한을 한층 더 압박할 것이라는 관측입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스위스 제네바 현지 시각으로 26일이나 27일 새로운 북한인권 결의안을 표결에 부칠 예정입니다. 이번 결의안은 지난해 유엔에서 채택된 결의안에 없던 내용들이 추가돼, 채택될 경우 북한을 한층 더 압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결의안은 특히 북한의 외국인 납치와 강제실종 문제를 비중 있게 다뤘습니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의 권고와 마루즈키 다루스만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의 제안에 따라 이번 결의안에 이 문제가 많이 들어가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루스만 보고관은 얼마 전 유엔 인권이사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북한의 납치 문제를 지적하며 납치된 외국인들이 송환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가 북한을 지속적으로 압박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1960년대에서 90년대까지 한국과 중국 일본뿐만 아니라 레바논과 말레이시아, 루마니아, 싱가포르, 태국 등에서
김기종(우리마당 대표)의 마크 리퍼트 대사에 대한 살해기도의 테러(2015년 3월 5일)는 한국 역사이래 처음있는 종북주의자의 테러는 아니다. 해방직후 김씨 왕조의 충성동이들이 총성과 죽창으로 우익과 부자를 살해한 부지기수(不知其數)의 전력이 있다. 김기종은 과거 종북자들이 벌인 테러의 부활을 알린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작금의 한국사회는 제2 제3의 테러를 사전에 막기위한 일환으로 시급히 대(對) 테러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여론이 충천하고 있다. 특히 한미동맹국으로서 미국 대통령을 대신하는 주한 미국대사는 물론이요, 주한 미군 사령관 등 주한 미국인들에 대하여 종북에 미쳐 무고히 기습 테러하는 행위는 국내 형사법이 아닌 대(對) 테러 특별법을 제정하여 엄중히 처벌해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박근혜정부가 한미동맹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시급히 대(對) 테러 특별법을 제정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고, 여야(與野) 국회의원들의 만장일치 의결이 있어야 하는 것은 지배적인 여론이다. 김기종은 8차례나 방북을 하고 왔다는 언론 보도이다. 북에서 환영하고 환대하는 자를 고의적으로 방북하게 하는 통일부도 맹비난의 대상이지만, 김기종을 환대하는 북은
k032315ne-sy.mp3한국 이명박 정부에서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을 지낸 천영우 ‘한반도미래포럼’ 대표가 23일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RFA PHOTO/ 양성원 앵커: 한국은 북한의 핵무기 공격에 대비해 미국의 핵 확장 억지에만 의존할 게 아니라 북한의 공격을 사전에 무력화할 수 있는 첨단 재래식 공격 무기와 방어 무기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한국의 천영우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23일 미국 카네기국제평화재단이 워싱턴 DC 레이건 빌딩에서 개최한 핵정책 관련 국제 토론회에 참석해 북한의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핵무기 공격 가능성을 거론했습니다. 변덕스럽고(erratic) 예측 불가능한 김 제1비서가 평상시에는 핵무기 사용을 자제한다하더라도 정권 생존이 위태로울 때 마지막 수단으로는 핵무기 공격에 나설 수 있다는 것입니다. 토론회 참석 후 한국 기자들과 만난 천영우 전 수석은 이럴 경우 한국은 북한의 핵무기 공격에 대비해 미국의 핵 확장 억지 정책에만 의존해선 곤란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의 핵탄두 탑재 미사일 공격이 개시되기 전에 혹은 그 미사일이 한국 영토 내 목표물을 타격하기 전에 이를 무
▲ 박원순 서울시장 ⓒ 연합뉴스박원순 서울시장이 종북성향 단체 행사에 축사 영상을 보낸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예상된다. 통일뉴스 보도에 따르면 종북성향 단체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 상임의장 조순덕)은 21일 오후 종로구 연지동 소재 기독교회관 2층 대강당에서 제30차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총회에서 조순덕 민가협 상임의장은 “민주주의와 인권은 저절로 얻어지지 않는다. 우리가 더 많은 민주와 인권, 평화와 통일을 요구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나설 때, 민주주의의 봄은 찾아올 것”이라며 “박근혜 정부의 독주에 제동을 걸기 위한 행동에 함께 나서 달라”고 말했다. 축사에는 권오헌 민가협양심수후원회 명예회장, 이규재 이적단체 범민련 남측본부 의장, 권낙기 통일광장 대표, 장남수 유가협 회장, 손미희 여성연대 대표 등이 나섰다. 매체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화상으로 축사를 보내왔다”고 전했다. 이들은 민가협 2015년 사업계획으로 ▲국가보안법 철폐 ▲양심수 석방 투쟁 및 지원 조사 사업 ▲국가보안법 철폐, 양심수 석방을 위한 민가협 목요집회 ▲평화 6.15, 10.4선언 이행, 자주통일 사업 ▲민주수호 운동 등을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이날 행사에는 범민련
“유엔의 김정은 斷罪(단죄) 결의, 헌법재판소의 통진당 해산 결정에 이은 김정은의 소니社(사) 해킹, 김기종의 칼부림, 이해찬의 헌법재판소 모독 발언, 새정련의 갑작스런 親美(친미) 행보. 점점 종북좌파 진영의 행태가 세계적 관점에서 이상하게 보이는 것은 이들의 종말을 예고하는 현상이 아닐까? 아니면 종말의 시작(the beginning of the end)인가?” -새정련 국회의원 130명 중 21명이 국보법과 반공법 위반자, 11명은 利敵단체 연루자, 9명은 미국의 북한인권법 제정 비난자, 30명은 국보법 폐지 서명자, 천안함 폭침 규탄 결의안 반대자도 30명인 조직의 本性이 바뀔까? -그런데 ‘북한식 사회주의 혁명 정당’ 통진당에 비밀 가입한 1000명 가량의 공무원이 대통령 암살을 모의한다면? 趙甲濟(조갑제닷컴 대표) 북한인권 국제회의 UN의 북한인권조사보고서 발표 1주년을 맞아 '앞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국제토론회가 지난 2월 중순 워싱턴의 국제전략문제연구소(TH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CSIS)에서 열렸다. CSIS, 북한인권위원회(미국), 연세대학교, 부시 연구소가 공동
중국의 사드(THAAD) 반대 眞意A2/AD 타격 대상엔 제1 도련선 안에 있는 오산과 군산 공군기지 등 주한미군 기지도 포함된다.황성준 아래 글의 출처는 문화일보 입니다.필자: 황성준 / 문화일보 논설위원 지난해 12월 주한 중국대사관에서 추궈훙(邱國洪) 대사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문제를 놓고 새누리당 의원과 언쟁을 벌였다. 추 대사가 “사드 한국 배치는 모기 잡으려고 대포 쏘는 격”이라고 말하자 그 의원은 “중국이 북한의 핵 개발이라는 근본적 문제를 막아주면 사드를 배치할 이유가 없다”고 반박했다. 그렇지만 추 대사는 “사드의 한반도 배치는 중국을 직접 겨냥하는 것”이라며 물러서지 않았다. 류젠차오(劉建超)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급)가 지난 16일 보인 오만한 언행도 그 연장선이다. 중국은 왜 이토록 사드에 반대할까. 왕융(王勇) 베이징대 국제정치경제연구센터 주임의 발언에서 그 속내를 읽을 수 있다. 왕 교수는 18일 “중국 대문 앞에 미국 무기가 설치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며 “중국은 계속 발전하기 위해 더 넓은 ‘안전공간’을 확보하고 싶어한다”고 말했다.중국이 사드에 반대하는 것은 중국이 미국을 향해 발사한 대륙간탄도미사일(I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25일 천안함 폭침 5주기 만에 처음으로 천안함이 북한 잠수정의 공격에 의해 폭침됐다는 사실을 명시적으로 언급했다. 문 대표가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이란 사실을 명확히 인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문 대표는 천안함 폭침 5주기를 하루 앞둔 이날 경기도 김포 해병대 제2사단 상장대대를 방문, 군 관계자들로부터 부대 현황을 보고받는 자리에서 “천안함 폭침 때 북한의 잠수정이 감쪽같이 들어와서 천안함 타격 후 북한으로 도주했다”고 말했다. .par:after{display:block; clear:both; content:"";} /*기사 본문 유형별 포토 팝업 탭 div*/a.pop_btn_mov { width:90px; height:90px; display:block; position:absolute; top:50%; left:50%; margin-top:-45px; margin-left:-45px; background: url(http://image.chosun.com/cs/article/2012/type_mov_onoff.png) no-repeat 0px 0px; }a.pop_btn_mov:hover { backgroun
서울시는 지난주 시청 앞 서울광장의 잔디를 새로 심었다. 잔디 광장은 다음 달 25일쯤 시민들에게 개방된다.서울광장 사용이 2010년 허가제에서 신고제(申告制)로 바뀌면서 이용 건수가 급증했다. 신고제로 전환되기 1년 전 172건이던 것이 1년 뒤 2011년엔 253건으로 늘었다. 그 후 해마다 250~300건의 문화 행사와 집회·시위가 열린다. 주말이면 민주노총, 전교조를 비롯한 온갖 단체들이 주최하는 대규모 집회와 시위가 벌어진다. 한 번에 수천, 수만 명이 잔디를 짓밟고 나면 잔디 광장은 그때마다 폐허가 된다. 이 때문에 서울시는 1년 내내 수시로 잔디 광장을 보수해야 한다.서울시는 시 양묘장에서 잔디를 직접 키워 쓰기 때문에 잔디 보수 공사에 돈은 거의 들지 않는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양묘장 운영비까지 따지면 결코 적은 비용이라고는 할 수 없다.문제는 잔디 관리 비용만이 아니다. 서울시청 잔디 광장은 원래 시민들이 휴식을 취하고 문화 이벤트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쓰려고 만든 시설이다. 주변 직장인들이 점심 식사 뒤 산책하거나 도심 나들이객들이 쉬었다 가는 쉼터로 이용하도록 만든 것이다. 그러나 광장이 단골 시위·집회 장소로 변하면서 시민들이 잔디에
지난 2010년 3월 26일 21시 22분 천안함이 북한 잠수함의 어뢰 공격을 받아 폭침되었고 46명의 대한민국의 젊은이들이 안타깝게 짧은 생을 마감하였다. 천안함을 기습 공격한 북한독재정권은 이후 연평도 포격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도발을 지속적으로 해왔고 대한민국을 무너뜨리기 위해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다. 우리가 누리고 있는 이 자유와 평화는 천안함 46용사와 같이 조국의 하늘과 바다와 땅을 지키기 위해 온 몸을 바친 수많은 호국영령들의 숭고한 희생을 바탕으로 얻어지는 행복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우리사회 곳곳에서는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부정하고 북한독재정권을 미화하고 북한을 찬양하며 추종하는 종북세력들이 대한민국에 버젓이 휘젓고 다니는 안타까운 현실이 일어나고 있다. 최근 반미를 외치면 미국 대사를 테러한 김기종, 북한인권의 심각한 상황은 외면하고 북한이 살기 좋은 곳이라고 거짓말하는 종북콘서트 황선과 신은미, 원전과 인터넷 등 국가중요 시설을 파괴하려고 모의했던 이석기를 비롯한 종북정당 옛 통진당 세력들의 광기에 찬 모습을 바라볼 때 대한민국의 안보가 심히 걱정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아무리 우리의 젊은 병사들이 휴전선을 철통같이 지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