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자신의 교수직 사퇴를 요구한 서울대 학생모임 ‘트루스포럼’과 서로 비난하며 공방을 벌였다. 조 전 수석이 트루스포럼을 ‘극우 태극기부대’라고 비난하자, 트루스포럼은 ‘정치선동’이라며 조 전 수석을 공격했다. 논란에 가세한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은 제자를 비난하는 조 전 수석을 향해 ‘스승 자격이 없다’며 조 전 수석의 자질을 비판했다. 조 전 수석은 6일 페이스북에 트루스포럼 관련 기사를 링크한 후 “선생은 학생을 비난하지 않는다”며 “서울대 안에 태극기부대 같이 극우사상을 가진 학생들이 움직이고 있다는게 안타까울 따름”이라고 적었다. 앞서 트루스포럼은 2일 서울대 법대와 학생회관 인근 게시판 등 교내 곳곳에 ‘조국 교수님, 그냥 정치를 하시기 바랍니다’라는 제목의 대자보를 붙였다. 이틀 뒤인 4일에는 이들이 붙인 대자보가 뜯겨진 채 발견돼 논란이 일기도 했다. 트루스포럼은 조 전 수석이 ‘극우 태극기부대’라고 비난하자, 같은 날 조 전 수석의 행태는 ‘정치선동’이라며 거세게 반발했다. 이들은 6일 페이스북을 통해 “극우는 나치·파시즘과 같은 국가사회주의 또는 민족사회주의를 말한다”며 “우리는 오히려 민족을 강조하며 사회주의적 환상
학생이 공부 안 하고 다른 데 정신이 팔렸다가 시험에서 낙제점을 받았다. 한 과목도 아니고 이 과목 저 과목 다 낙제다. 그런데 그 학생이 '시험이 잘못됐다'고 '당당하게' 역공을 한다. '결연하게 싸우겠다'고도 한다. 그랬더니 여기저기서 박수를 친다. 지금 나라 모습이 이렇다. 나라가 걱정이라는 말은 항상 있었지만 3류 정치의 해악을 받아낼 만큼 민간 부문이 성장해 여기까지 왔다. 지금 그 믿음마저 흔들리고 있다. 2분기 경제성장에서 민간 부문 기여도는 오히려 마이너스였다. 금융계 계신 분의 얘기다. "금융계 젊은 친구들의 문재인 지지는 높았는데 문 대통령이 남북 경협으로 일본을 단숨에 이긴다고 한 날, 젊은 직원이 '나라를 말아먹는다는 게 이런 건가요'라고 물어 놀랐다." 최근 이런 말을 하는 사람이 너무 많다. 우리 경제는 문 정권 출범 이전에 이미 내리막길로 접어들었다. 역대 정권이 노동, 공공등 구조 개혁을 사실상 하지 않았다. 그렇게 허약해진 경제를 문 정권이 이상한 실험 한다면서 아예 발로 밀어 버렸다. 세계 주요국의 주가가 올랐는데 우리만 내렸다. 우리보다 경제가 12배 큰 미국보다 경제성장률이 낮다. 사회에 '경제 할 의욕' 자체가 꺾였다.
제 15 송 依止根本識 五識隨緣現 의지근본식 오식수연현 惑俱惑不俱 如濤波依水 혹구혹부구 여도파의수 근본식을 의지하여 오식(五識)이 인연 따라 현기(現起), 즉 현재 일어나는데, [오식(五識)이] 모두 함께 작용하기도 하고, 모두 함께 작용하지 않기도 한다. 이는 마치 파도가 물을 의지하여 일어나는 것과 같다. 근본식(根本識)이란 제8 아뢰야식을 의미하는데 그 중에서도 아뢰야식에 저장된 과거의 경험으로 심어진 종자, 즉 업력(業力)에 의지한다. 오식(五識)은 전 오식(前五識)이라고도 하는데, 안식(眼識)이 제1식, 이식(耳識)이 제2식, 비식(鼻識)이 제3식, 설식(舌識)이 제4식, 신식(身識)이 제5식인데 그들을 총칭하여 오식(五識) 혹은 전 오식이라 한다. 육식(六識) 중에서 제6 의식(意識)을 뺀 다섯 가지 몸의 기관이 외부와 접촉할 때 그들을 인식하고 분별하는 작용을 하는데, 이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전 오식이 근본식, 즉 제8 아뢰야식에 저장된 업식에 의지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사물을 전 오식이 접촉하고 제6 의식이 인식하고 분별하는 작용을 하지만 이 작용이 제8 아뢰야식에 저장된 과거 경험의 종자들에 의지하여 일어남으로 인식의 대상이 있는 그대
제 14 송 放逸及失念 散亂不正知 방일급실념 산란부정지 不定謂悔眠 尋伺二各二 부정위회면 심사이각이 방일(放逸)과 실념(失念), 산란(散亂)과 부정지(不正知)이고, 부정(不定)에는 회면(悔眠)과 심사(尋伺) 두 가지가 있는데 이 두 가지에 각각 두 가지가 있다. 방일(放逸)과 실념(失念), 산란(散亂)과 부정지(不正知), 이 4가지 수번뇌는 제12송에서 시작한 20가지 수번뇌 중 마지막 4가지이다. 방일(放逸)은 자기 생명의 가치와 목적 그리고 능력을 알지 못하고 또 알려고 하지도 않고 물욕이나 애욕에 매달려 귀중한 세월을 흘려보내는 것이다. 불교를 믿고 진리를 탐구하고자 하는 발심이 필요하다. 실념(失念)은 기억력을 상실하여 사물이나 경전의 말씀을 착각하는 마음이니, 치매현상이라고도 볼 수 있다. 또는 주변 사람들이 괴롭혀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무 것도 없다고 생각하 여 매사에 의욕을 느끼지 못하는 마음이기도 하고, 도(道)를 닦는 일에 마음을 잃어 우울증 증세가 있는 마음이기도 하다. 산란(散亂)은 마음의 중심을 잃은 마음이다. 한 가지를 생각하려 하면, 그 주변 일에 관심이 쏠리고, 또 그 주변에서 주변으로 관심이 옮겨 지면서 핵심을 놓쳐 아무 일도
일본 아이치현 국제예술제 '아이치트리엔날레 2019'가 4일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는 소녀상〈사진〉 전시를 중단했다. 소녀상이 출품된 '표현의 부자유전(展)·그후' 코너 전체를 폐쇄하는 방식이었다. 소녀상은 개막일(1일)부터 75일간 나고야시 아이치문화센터에서 일본 시민들을 만날 예정이었다. 온전한 형태의 소녀상이 일본 공공미술관에 전시된 건 이번이 처음이어서 더 큰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우익들의 거센 항의와 협박, 일본 정치권의 압력으로 3일 만에 철거되는 운명에 처했다. 오무라 히데아키(大村秀章) 아이치현 지사는 3일 기자회견을 통해 "아이치트리엔날레 내 '표현의 부자유전·그후' 코너를 오늘로 중단한다"고 밝혔다. 주최 측이 설명한 폐쇄 이유는 '관람자의 안전 확보'다. 전시 시작 직후부터 테러 예고나 협박으로 간주되는 항의 전화와 메일이 계속됐기 때문이다.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1~2일 이틀간 아이치현에는 1400여건에 달하는 항의 전화와 메일이 접수됐다. 2일 오전에는 "(소녀상을) 빨리 철거하지 않으면 가솔린이 든 캔을 들고 행사장에 가겠다"는 팩스도 들어왔다. 항의 전화는 아이치현청 외에도 아이치트리엔날레 실행위원회, 협찬한 기업 등에도 쇄도했다고
제 13 송 誑諂與害憍 无慙及無愧 광첨여해교 무참급무괴 掉擧與惛沈 不信幷懈怠 도거여혼침 불신병해태 속이는 마음(誑), 아첨하는 마음(諂), 피해를 끼치는 마음(害), 방자한 마음(憍), 부끄러움이 없는 마음(無慙), 참회할 줄 모르는 마음(無愧), 잘난 척 으시 대는 행위(悼擧), 멍한 마음(昏沈), 믿음이 없는 마음(不信), 게으른 마음(懈怠). 광(誑)은 속이는 마음으로 사람을 기만하거나 유혹하여 재물을 가로채려는 마음이다. 이는 탐심에서 파생되는 마음이다. 첨(諂)은 아첨하는 마음이니 부정한 목적으로 힘있는 사람에게 아첨하는 것을 말한다. 해(害)는 자기의 이익을 위해 남에게 손해를 보이는 것을 말한다. 이도 탐욕에서 파생되는 마음이다. 교(憍)는 교만하고 당돌하고 거만한 마음이니 이도 근본번뇌 6가지 중 하나인 만(慢)에서 비롯되는 마음이다. 무참(無慙)은 자기가 할 일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해 부끄러워할 줄 모르고 더욱이 덮어 버리는 마음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 있다. 무괴(無愧)는 자기가 잘못한 일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끼지 못하고, 거기에 더해 남의 탓이라고 변명하는 마음이다. 도거(悼擧)는 마음이 불안한 사람이 실은 들떠 있지만 남에게는 그렇게 보
제 12 송 煩惱謂貪瞋 痴慢疑惡見 번뇌위탐진 치만의악견 隨煩惱謂忿 恨覆惱嫉慳 수번뇌위분 한부뇌질간 번뇌에는 탐(貪)·진(瞋)·치(痴)·만(慢)·의(疑)·악견(惡見)이 있고, 수번뇌(隨煩惱)에는 분(忿)·한(恨)·부(覆)·뇌(惱) ·질(嫉)·간(慳)이 있으며. 근본번뇌로서 6가지를 열거하고, 근본번뇌를 의지해서 일어나는 지말번뇌(支末煩惱)를 수번뇌(隨煩惱)라고도 하는데, 이 수번뇌에 20가지가 있다. 이 송에서 그 중 6가지를 열거하고, 다음 제13송에서 계속하고 있다. 제6식의 번뇌는 제8 아뢰야식과 제7 말나식에 의지하여 일어나고, 제6식의 번뇌는 제6식에 의지해 일어나는데, 경계를 요별 할 때 자기중심적으로 요별하고, 자기와 이해(利害)관계를 일으켜 집착할 때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생각과 괴로움이다. 이렇게 일어나는 번뇌를 탐(貪)·진(瞋)·치(痴)·만(慢)·의(疑)·악견(惡見) 6종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탐(貪) : 재물(財物), 이성(異性), 명예(名譽), 음식(飮食) 등을 접할 때 애착심(愛着心)을 일으켜 그를 자기 소유로 만들고자 배타적인 욕심이나 과분(過分)한 욕심을 일으키는 마음이다. 제행이 무상하고 제법이 무아하며 일체가 연기하는 진리를
善謂信慙愧 無貪第三根 선위신참괴 무탐제삼근 勤安不放逸 行捨及不害 근안부방일 행사급부해 선(善)이란 이른바 신(信)·참(慙)·괴(愧)와 무탐(無貪)·무진(無瞋)·무치(無痴) 등 3선근(三善根)과 근(勤)·안(安)·불방일(不放逸)·행사(行捨) 그리고 불해(不害)이다. 제6의식을 심소(心所)로 하는 선(善)에는 이상 11가지가 있다. 이를 개별적으로 해설하면, 신(信) : 부처님의 세계와 위에서 설명한 불성을 믿는 마음이다. 믿는 마음이란 결정적인 믿음이다. 왔다 갔다 형편 따라 믿는 것을 믿는 것이라고 하지 않는다. 어떠한 어려운 환경에서도 앞으로 전진 하는 믿음이 믿는 마음이다. 이 믿음이 앞에서 설한 오별경 수행의 근본이 되고, 일체 보살도와 성불의 근본이 되고 앞으로 설할 10가지 선행의 근본이 된다. 참(慙) : 자기가 행해야 할 것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해 부끄럽게 생각하는 마음이다. 일요일 법회에 참석해야 하는데 참석하지 못한 것을 부처님께 죄송하게 생각하고 도반들에게 부끄럽게 생각하는 마음이 부끄러울 참(慙)이다. 이 11가지 선행을 살펴 행하지 않은 것을 참회하는 마음이다. 괴(愧) : 자기가 이미 한 일에 대해 부끄럽게 생각하거나 모욕적으로 느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