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천구 칼럼> 미국과의 거래냐 리비아의 가다피 운명이냐 마이클 펜스 미국 부통령은 오늘 5월 22일 트위터에서 여러 번북한에 대한다음과 같은경고를 날렸다. “김정은이 트럼프와 게임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큰 실수가 될 것이다.” (It would be a great mistake for Kim Jong-Un to think he could play Trump.) “트럼프는 김정은이 (미국과)거래를 하지 않을 때만이 리비아 모델의 마지막 귀결처럼 끝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Trump made clear, this will only end like the Libya model ended if Kim Jong-un doesn't make a deal.) “북한과의 정상회담에 관하여:” “미국은 우리가 걸어 온 길을 계속갈 것이다. 왜냐하면 현 대통령 트럼프는 북한이 미국과 동맹국들의 안보를 위협하는 핵무기와 대륙간 탄도탄을 보유하는 것을결코 용인할 수 없기때문이다. (on North Korea summit: "The UnitedStates will continue on the path that we are on becausethi
정암사 가는 길 아침에 눈을 뜨니 산허리에 고요가 가득 신을 당겨 문을 나서니 절로 가는 좁은 길 길에 드니 흰물은 계곡을 따라 길을 열고 붉은 백일홍은 나그네를 보고 웃네 조막만한 새는 나무위에서 까불고 검은 바위는 가부좌로 앉아 있네 절로 가는 길은 아득하여 길은 있어도 가지를 못하고 돌아서 오는 발은 웬지 무거워 공연히 지나는 이의 발길을 잡네 수마노탑 있는 절이 어디냐고 !
무외시(無畏施)란 말은 불교 용어지만, 종교와 인종을 초월하여 모든이에게 통용될 수 있는 것이어서 여기에 쓴다. 문자 그대로 풀어 보면 ‘무無는 없음, 외畏는 두려움, 공포, 시施는 베품’이다. 즉 “두려움(畏)이 없는 것(無), 곧 자비를 베푼다(施)”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이는 내 자신의 용모나 언행, 그리고 어떤 처사가 남에게 고통을 주어서는 안되는 것, 이것이 무외시이고, 남이 곤경에 처했을 때에 그를 거기서 구해 주고 잘 살 수 있도록 돕는 것, 이것이 또한 무외시다. 이러한 무외시는 불교에서 남에게 베푸는 세 가지 보시(布施)중의 하나이다. 잠깐 그 연원을 살펴 본다. 대승불교의 수행에 육바라밀(六波羅密)이 있다. 여섯 가지 바라밀인데, 그 조목을 들어 보면 보시(布施-널리 베품) 지계(持戒-계율을 지킴) 인욕(忍辱-욕됨을 참음) 정진(精進-열심히 닦음) 선정(禪定-고요히 명상에 듬) 지혜(智慧-부처님과 같은 마음 경지)이다. 이 여섯 가지의 덕목을 열심히 실천하고 닦으면 모든 사람은 저 피안(彼岸), 즉 열반(涅槃)에 이른다고 하였다. 여기서 피안이란 일체의 고(苦)를 해탈한 열반의 세계, 성불의 경지를 이름이다. 육바라밀! 그중에서도 으
19일(토) 서울 곳곳에서 나라를 사랑하는 태극기물결 교보문고 앞을 비롯해 서울역광장, 대한문 앞, 동화면세점, 보신각, 세종문화회관 앞, 명동 중앙우체국 등 7곳에서 태극기집회가 열리고 있다. ▲교보문고 앞 ▲서울역 광장 ▲대한문 앞 ▲동화면세점 앞 ▲보신각 앞 감사합니다. 2018년 5월19일 '
[김경수 대선농단 의혹] 이른바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에 대한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경남지사 후보의 입장은 비교적 일관돼왔다. 매크로에 대해서는 '몰랐다'고 해왔고, 활동에 관여했는지에 대해서는 '좋은 기사를 보냈을 뿐'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무리한 인사 청탁에 이어 급기야 '협박'까지 받아왔다는 것이 김경수 후보의 해명이었다. 그런 가운데 18일 한 언론사를 통해 <드루킹 옥중편지> 전문이 공개됐다. 이 편지는 김경수 후보의 해명을 조목조목 반박하듯 쓰여져 있다. 그리고 이 편지에 따르면 김경수 후보는 새빨간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 된다. 드루킹의 편지에 따르면 김경수 후보는 매크로 댓글조작의 실체를 사전에 알고 있었고, 이를 추진할 것을 사실상 지시했다. 게다가 활동 내용을 보고 받았을 뿐만 아니라 활동 결과에 대해 문의도 했다. 그리고 김경수 후보가 드루킹에게 인사 추천권을 제안했으며, 드루킹이 무리한 인사청탁을 하고 이것이 불발되자 일방적으로 협박을 가했다는 김경수 후보의해명은 거짓이라는 것이 드루킹의 주장이다. 과연 김경수 후보와 드루킹 중 누가 진실을 말하고 있는 것일까. 드루킹의 편지가 말하는 '김경수의 거짓말'을 네 가지 주제로 정
각국 지도자와 전문가들이 참가한 아시안리더십콘퍼런스가 16~17일 열렸다. 북한을 직접 상대했던 리비어 전 미 국무부 부차관보는 북한의 '정상회담 재검토' 위협과 관련해 "그동안 환희에 차 있던 서울 분위기를 이해하기 어려웠다"면서 "냉정을 되찾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했다. 페리 전 국방장관은 "기대치를 낮추고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했다. 다른 전문가들 역시 "이게 현실이고, 이게 북한" "잠시 '정지' 버튼을 누를 기회" "김정은을 냉철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했다. 미국이 사전 접촉에서 북의 비핵화 의사를 확인한 것으로도 알려졌지만, 북한은 그제 담화문에서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핵 폐기(CVID)나 미사일·생화학 무기 폐기 요구를 "망발"이라고 했다. 북한과의 협상은 잠시 좋아졌다고 낙관해서도 안 되고, 북이 거칠게 나온다고 비관하지도 말아야 한다. 지난 남북 정상회담 이후 우리 내부에서 북한과 김정은에 대해 환상이 생겨났다. 정부와 여당이 오히려 이를 부추겼다. 정부는 북한 핵 폐기가 기정사실인 것처럼 각종 대화와 교류·협력 준비를 서둘렀다. 민주당은 개성공단 재가동, 금강산·백두산 관광, 경원선·경의선 철도 건설 등을 지방선
백악관은 “북한이 만나지 않겠다고 해도 괜찮다며 그럴 경우 최대 압박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은 16일 일방적인 핵 포기만 강요하는 대화에는 흥미가 없다며 북미 정상회담에 응할지 재고려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1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이 만나고 싶다면 미국은 준비가 돼 있겠지만 만약 만나고 싶지 않다고 해도 괜찮다”고 말했다. 그럴 경우에 미국은 최대 압박 캠페인을 계속한다는 것이다. 샌더스 대변인은 북한이 핵 포기만 강요하는 대화에 관심 없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이는 충분히 예상했던 일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힘든 협상을 준비하는 것에 매우 익숙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일들은 일반적으로 종종 일어나는 일이라는 것을 알고 있고 놀랍지 않다”고 덧붙였다. 백악관은 또 북한 비핵화 모델이 이른바 ‘리비아 모델’이라는 일각의 분석을 일축했다. 샌더스 대변인은 미국의 방식은 트럼프 방식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적합하다고 보는 방식으로 일을 진행한다는 것이다. 미국이 ‘리비아식 모델’을 추구하느냐는 질문에는 북한 비핵화와 관련해
북한은 김계관 외부성 제1부상을 내세워 미국이 ‘선폐기-후보상’과 같은 ‘리비아모델’로 압박할 경우 미북정상회담을 취소할 것이라는 ‘벼랑끝 전술’을 낡은 레코드판 틀 듯이 다시 들고 나왔다. 이에 대해서 백악관은 ‘리비아 모델’이 아니라 ‘트럼프식 모델’을 구상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와 함께 미국은 미북정상회담 성사 여부와 상관없이 북한에 대한 최대 압박정책을 지속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미국과 북한이 핵 폐기 방식을 두고 서로치고 받는 사이에 ‘판문점 선언’은 잉크도 마르기 전에 휴지조각이 되어버린 느낌이다. 북한은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남북고위급회담을 ‘맥스선더’라는 한미연합군사훈련을 핑계로 이른 새벽에 일방적으로 취소했기 때문이다. 미북 ‘중재자론’을 내세워 북핵 문제 해결의 단초를 마련하고 남북관계 개선의 물꼬를 트려고 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기대가 물거품이 되어가고 있다. ‘판문점 선언’을 되살리기 위해 북한은 일방적 남북고위급회담 취소 이유를 한미군사훈련의 탓으로 돌리고 있다. 심지어 태영호공사의 회고록 <<3층 서기실의 암호>>에 그 책임을 전가하고 자유를 찾아 대한민국으로 망명한 그를 ‘추방’시켜야 한다는 어처구니없는 주
민주당 김경수 경남지사 후보가 작년 12월 말 드루킹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일본 센다이 총영사직을 주겠다고 제안했다고 한다. 사실이라면 선거법 위반이 될 수 있다. 김 후보 측은 부인했지만 그간 김 후보 주장 중엔 사실과 다른 것들이 너무 많았다. "감사 문자를 보낸 적은 있다"고 했지만 대선 때 기사 주소(URL)와 함께 '홍보해주세요'라고 문자까지 보낸 것으로 드러났다. "드루킹 측 후원금을 확인 중"이라더니 2700만원인 걸 진작 알고 수사 대비까지 한 것으로 밝혀졌다. 보좌관이 500만원을 빌렸다고 했지만 알고 보니 인사청탁 명목 뒷돈이었다. 김 후보는 "드루킹은 많은 지지자 중 하나"라고 했지만 실제론 대선 캠프 인선과 관련한 글을 미리 손봐달라고 요청하는 사이였다. 2016년 9월 드루킹의 출판사 사무실로 찾아가 직접 만나기도 했다. '센다이 총영사 제안'도 얼마 뒤에 어떻게 드러날지 모른다. 이 모든 의혹은 특검에서 밝혀낼 수밖에 없다. 여야는 18일 드루킹 특검법을 처리키로 했지만 16일까지도 세부안에 합의하지 못했다. 민주당이 특검 수사 핵심인 '검경 부실수사'를 빼려는 데에서 나아가 특검 규모와 수사 기간까지 축소시키려 하기 때문이다. 사이
글 : 정천구 (정치학 교수, 전 영산대학교 총장)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5월 10일 트위터를 통해 트럼프⦁김정은 회담이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바로 다음날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한에서 구해온 인질 3명을 새벽 3시 영부인과 함께 앤드류 공항에 직접 나가 맞이하는 극적인 장면을 연출했다. 그는 환영행사를 마치고 당일 저녁 인디애나에서 열린 집회에서 행한 연설에서 북핵 페기 문제에 대해 다시 언급했다. 여기서 예정된 미북 회담의 성격과 양측의 전략 그리고 회담의 전망을 차례로 분석해 본다. 회담의 성격과 양측의 전략 나는 앞선 글에서 (http://www.nabuco.org/news/article.html?no=12462) 북한의 비핵화 선언이 개념 없는 언론이 묘사한 “승리를 향한 대장정( Long March)”이 아니라 핵 항복(nuclear surrender) 선언이라고 말한 바 있다. 미국의 강력한 군사적 압박과 경제재재 조치에 굴복하여 판문점의 남북한 공동선언 형식으로 위장한 항복 선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의 트럼프에겐 그런 위장 전술은 통하지 않는다. 북한은 트럼프의 “분노와 화염”발언에 대한 맞대응
문재인정부가 북핵 위기가 완전히 해소되지도 않은 시점에서 한미연합방위체제를 약화시킬 수 있는 전작권 전환을 집요하게 주장하는 그 이유가 궁금해진다. 나토(NATO) 29개 회원국은 전작권을 환수하기는커녕 미국의 전작권 행사 권한을 더욱 강화시켜주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미국과 병렬형 안보협력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일본은 한미연합사와 같은 더욱 통합된 미일방위체제를 구축하려고 하고 있다. 이런 국제적 추세와 달리 유독 한국의 문재인정부만이 한미연합체제를 허물고 한미동맹을 약화시키려고 하고 있다. 그 이유가 궁금하고 그런 발상이 어디서 나오는지 의문이다. ◇일본, 한미연합사 같은 통합된 미일방위체제 원해 전작권을 반드시 전환해야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발상은 ‘종족적 민족주의적 인식’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그는 전작권을 한국이 단독으로 행사하는 것이 과거 노무현대통령이 주장했던 것처럼 마치 빼앗긴 군사주권을 되찾아오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는 듯하다. 2017년 7월 문재인 대통령은 베를린 연설에서 “통일은 쌍방이 공존공영하면서 민족공동체를 회복해 나가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연설은 그의 의식 구조 속에 ‘종족적 민족주의’가 얼마나 뿌리 깊게 박혀있는지를 잘
탈북 유경식당 여종업원 13명을 북한으로 되돌려보내려는 움직임이 있는 것과 관련해, 자유한국당 김진태 의원이 국민적 관심 환기와 저항을 호소하고 나섰다. 한국당 김진태 의원은 13일 개인 성명 형식의 '호소문'을 발표해 "국민을 사지로 몰아넣는 것은 반역집단이나 하는 짓"이라며 "이런 비인도적 만행에 분노하지 않는 국민은 자유민주주의를 누릴 자격이 없다. 다 들고 일어나야 한다"고 부르짖었다. 앞서 지난 10일, 종합편성채널 〈JTBC〉는 "북한 식당 여종업원들이 자기 의사로 귀순한 게 아니라, 식당 지배인이 시키는대로 한국에 온 것"이라며 "배후에는 국가정보원이 있다"고 주장했다. JTBC의 주장이 있은 이튿날인 11일, 통일부는 정례 브리핑에서 기다렸다는 듯이 "집단 탈북 종업원의 입국 경위, 자유의사에 대해 새로운 주장이 있어 사실관계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며 "해당 방송 내용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고 장단을 맞췄다. 이러한 설명은 귀순한지 2년이 넘은 탈북 여종업원 13명의 북송까지도 검토할 수 있다는 취지로 해석돼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김진태 의원은 이날 호소문에서 "일부 언론은 국정원의 기획으로 몰고가려 한다"며 "이쯤되면 이미 언론이라고도